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가축사양학 정리(10) 사양표준

by 지식꿈나무 2023. 4. 27.
반응형

사양표준

 

표준사양과 사양표준

표준사양 : 가축의 생리 상태 또는 생산능력에 맞게 모든 영양소의 과부족이 없이 가장 경제적이고 함리적으로 가축을 사양하는 것

사양표준 : 표준사양을 하기 위해 제시된 영양소의 공급량을 과학적으로 정한 기준, 가축에게 급여하는 영양소 급여기준

 

사양표준의 종류

NRC : 1942년 미국에서 제정,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닭, 돼지 필수지방산: 리놀산( Linoleic acid)

*가축은 물론 실험동물, 애완동물을 포함한 모든 종류 총 망라

ARC : 영국의 농업연구회의 기술분과 위원회에서 제정,

*Kcal, KJ을 함께 사용, 젖소의 품종별 요구량 제시

한국사양표준 : 2002년 농촌진흥청에서 한우, 젖고, 돼지, 가금류 제정

*사양관리 방법 및 고려사항 포함

볼프-레만 사양표준 : 1864년 볼프가 창안 1897년 레만이 수정

*건물 및 가소화영양소와 영양률을 명시

켈너의 사양표준 : 1907년 켈너가 고안

*역용 및 비육용 가축에 효과적인 사양표준, 전분가 사용

한손의 사양표준 : 1915년 제정

*사료단위로 사료요구량을 제정하여 켈너 보충

암스비의 사양표준 : 1915년 정미에너지와 가소화단백질을 가지고 제정

*유지사료 요구량을 체중에 정비례하지않고 체표면적에 비례

모리슨의 사양표준 : 1936년 볼프레만의 사양표준을 개정

*사료의 생산가를 쓰지않고 TDN을 사용하여 지금도 널리 사용

일본 사양표준 : 가금, 유우, 돼지, 육용우 제정

 

* 돼지는 KRC 가 가장 널리쓰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