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사양학

가축사양학 정리(9) 사료의 영양가치 평가

by 지식꿈나무 2023. 4. 27.
반응형

1. 소화율과 가소화 성분

소화율

- 외관 소화율

사료에서 유래하지 않는 분내의 대사성물질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

소화율 = 소화흡수된 영양소량/섭취한 영양소량X100

= (섭취한 영양소-분으로 배설된 영양소량)/섭취한 영양소량X100

 

ex) 5두의 가축이 10일간 100kg을 섭취하고 분생산량이 40kg이었을 때 외관소화율은?
= (100-40)/100x100 = 60

 

- 진정소화율

순수하게 동물에 의하여 소화 이요된 부분만을 따지는 소화율

불소화물 중에서 대사분 질소를 정확하게 분리해내는 일이 실제로 어려워 잘 이용되지 않음

= {섭취한 영양소-(분으로 배설된 영양소량-대사성 영양소량)}/섭취한 영양소량X100

 

ex) 섭취한 사료 성분량 150g, 분으로 배설된 사료성분량 30g, 대사성 성분량 2g일 때 진정 소화율은?
= {150 - (30-2)}/150 = 81.33

 

- 소화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일반적으로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소화율이 5%정도 높다.

· 노령기의 가축은 성장기의 가축에 비해 조사료소화율이 낮다.

· 지방은 너무 많이 첨가되면 소화율이 떨어진다.

· 소화율은 가축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화율 측정방법

- 직접측정법

시험동물을 대사 틀에 넣고 분채취도구인 오줌주머니와 분주머니를 부착한다.

예비시험기간은 반추동물 7~10, 단위동물은 5~7일 환경적응기간을 둔다.

사료섭취량,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성분량으로 계산한다.

3회반복하며 사료는 자기 섭취량 110%를 급여한다.

 

- 간접측정법

표시물에는 산화크로뮴이 가장 많이 쓰이며 산화철, 황산바륨, 동의원소, 색소원, 리그닌 등이 이용된다.

산화크로뮴은 보통 사료의 1%미만을 사용한다.

분의 전체 배설량을 조사하지 않고 소화할 수 없는 표시물을 먹이고 서료와 분의 표시물 함유량 비율을 구하여 계산한다.

100-(사료 중 표시물량/분 중 표시물량)X(분 중 영양소량/사료중 영양소량)X100

 

ex) 어떤 사료 중 CP 15%, 산화크롬 1.5%, 배설분 중 CP 8%, 산화크롬 3.6%일 때 소화율은?
= 100-(사료중 표시물/분중 표시물)x(분중 영양소/사료중 영양소)
= 100-(1.5/3.6)x(8/15)x100 = 77.78%

 

-인공소화시험방법

반추휘의 환경조건을 유지한 시험기를 이용

소화기관과 같은 조건으로 내부 온도를 체온과 같은 온도로 유지

완충액을 넣고 펩신, 트립신 등으로 분해하여 소화율을 산출

 

 

반응형

 

2. 생물학적 평가

에너지 (총E>가소화>대사>정미)

총에너지(GE)

사료 속에 들어 있는 총에너지로 사료를 완전히 산화시킬 때 발생되는 에너지

사료를 열량계에서 태워 발생하는 연소열로 측정

지방의 CE가 높아 탄수화물의 약 2.25가 된다.

 

ex) 닭의 1일 필요한 총 에너지
중량 57g이고 90kcal의 에너지를 함유하는 계란 1개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122kcal이고, 체중 2.7kg인 닭이 유지시 필요한 에너지는 335kcal/일, 산란율 70%일 때 필요한 총에너지?

= (122x70/100) +335 = 420.4Kcal

 

가소화에너지(DE)

사료의 총에너지에서 분으로 배설된 에너지를 뺀 에너지

 

대사에너지(ME)

가소화에너지에서 오줌 및 gas상태로 소실되는 에너지를 뺀 에너지

 

정미에너지(NE)

대사에너지에서 열량증가로 소비된 에너지를 뺀 에너지

순수하게 동물의 유지 및 생산에 이용되는 에너지

 

☀열량증가(HI)

사료의 저작, 소화흡수,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 E

사료섭취 후 한시간 니애네 최고조에 달하며 반추동물은 GE의 20%

단백질과 에너지 불균형, 소금, P, 비타민의 부족 시 커진다.

단백질사료섭취 시 열량 증가량이 높다.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TDN은 사료에너지에서 똥으로 배출되는 에너지가 가장 크므로 가소화 에너지만을 평가하는 방법

사료의 영양소 함량에 소화율을 곱하여 가소화 영양소 함량을 구한다. 가소화 지방은 다른 영양소보다 2.,25배의 열량을 더 발생함으로 2.25를 곱한다.

TDN(%)=가소화가용무질소물+가소화조단백질+가소화조섬유+가소화조지방X2.25

 

ex) TDN 함량 구하기
조단백질 8g(소화율 75%), 조지방 11g(소화율 70%), 조섬유20g(소화율 70%), 가용무질소물30g(소화율 85%) 일 때 TDN?
= (8x75/100) + (11x70/100x2.25) + (20x70/100) + (30x85/100) = 62.825 

 

전분가(SV or SE)

Kellner19세기 말에 발표한 일종의 정미에너지 평가법

체지방량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전분의 Kg

가소화 전분 1Kg이 형성하는 체지방 생산력을 기준으로 사료의 가치를 표시

농후사료 : (DCPX0.94+DCFatX2.12~2.41+가소화탄수화물X1)X당가율

조사료 : (DCPX0.94+DCFatX1.91+가소화탄수화물X1)-(조섬유-보정계수)

전분가는 비육축에 대해 비교적 정확하나 젖소 등은 부정확하다.

 

사료단위(FU)

Hanson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리 1Kg의 우유생산가를 1단위로 하고 있다.

 

사료명 DCP(%) 사료단위 사료 DCP 사료단위
보리 8.5 1 목초 1.3 0.19
옥수수 7.0 1.15 볏짚 0.6 0.27
콩깻묵 38.2 1.24 밀기울   1.25

 

사료효율

성장중인 가축에서 증체량의 사료섭취량에 대한 비율

Fe=증체량(산란량)/사료섭취량X100

사료요구율=사료섭취량/증체량

사료효율은 클수록 좋다.

 

ex) 섭취량 4kg일 때 증체량 2kg 사료요구율?
= 4/2 = 2

 

사료의 단백질 평가

 

가소화 조단백질

사료의 조단백질함량에 소화율을 곱한 것

DCP=조단백질X소화율

 

단백질당량(PE)

반추동물은 요소와 같은 비단백태 질소화합물도 유효하게 이용되나 이용할 수 없는 질소화합물도 있다. 따라서 DTP는 이론적으로 모순이 된다.

단백질 당량 = (DCP+DTP)/2 또는 가소화순단백질 + 1/2 비단백채 질소화합물

 

단백질효율(PER)

PER=증체량/단백질섭취량

 

☀생물가(BV)(단백질의 사료가치평가)

섭취한 단백질의 몇%가 실제 동물이 이용한 단백질인가를 평가하는 것

가소화단백질의 체단백질로서의 이용가치 평가

BV=체내 이용된 질소량/흡수된 질소량X100

대사질소와 내생질소의 측정은 무질소 사료를 주면서 그 배설량을 조사한다.

 

☀정미 단백질가(NPV)

사료 단백질의 소화율과 체내 흡수 이용률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미 단백질가 = 생물가X소화율 = 체내에 축적된 질소/섭취한 질소X100

 

ex) 질소섭취량 20g, 분중 N함량 10g, 뇨중 N함량 5g, 소화율 60% 일 때 생물가? 정미단백질가?
생물가 = 10/20x100=50
정미단백질가 = 50x60/100=30

 

질소 축적률(nitrogen retention NR)

흡수된 질소의 얼마가 체내에 축적되었는가를 %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NR=(섭취한질소량-배설된 질소량/섭취한질소량)X100

 

단백질과 에너지 비율 평가

☀영양율(nutritive ratio NR)

가소화 조단백질에 대한 무질소 영양소와의 비

NR = 가소화조지방X2.25+가소화가용무질소물+가소화조섬유/가소화조단백질

= (TDN-DCP)/DCP

 

ex) 가소화 조지방 2.7%, 가소화 조섬유 7.1% 사고화 가용무질소물 48.9% 가소화 조단백질 12%일 때 영양율은?
= (2.7x2.25 + 7.1 + 48.9)/12 = 5.17

 

칼로리 단백질 비율(CPR)

사료 1kg에 들어 있는 대사에너지의 칼로리를 조단백질 함량으로 나누어 구한다.

단백질과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성장률과 사료효율이 향상된다.

에너지함유량이 많을수록 비타민, 무기질, 메티오닌 함유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사료의 정량분석법

수분(도가니 칭량) = (건조전도가니+시료-건조후도가니+시료/건조전도가니+시료-시료량)X100

조단백질(켈달법) = ((공시험 N/10 NaOH용액-본시험 NaOH용액)X N/10 NaOH용액의 역가 X 0.0007 X 희석배수 X 6.25 X 100 / 시료량  * 황산, 수산화나트륨 사용

조지방(속실렛법) = (지방추출 후 병무게 병무게 /시료무게) X 100

조섬유(AOAC분석방법) = (글라스필터와 조섬유 항량- 회화후 중량 /시료량) X 100

조회분 = (회화 후 용기와 회분 무게-용기의 무게/시료의 무게) X 100

가용무질소물(포도당, 전분) = 100-(수분+조단백질+조지방+조회분+조섬유)

☀반 소에스트법

섬유질성 탄수화물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적합

NDS : 중성세제에 용해(단백질, 지방, 전분, 당류 등)

NDF : 중성세제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실리카)

ADF : NDF 중에서 산성세제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셀룰로스, 리그닌)

*NDF – ADF = 헤미셀룰로스

ADL : 셀룰로스와 리그닌 함량 분석방법

ADF72%H2SO4용액에 끓이면 셀룰로스가 용해되고 리그닌만 남은다.

 

사료의 평가와 감정법

사료의 성분 환산

건물측정

수분이 포함되지 않은 사료

수분 0% 환산 계수 = 100/100-어떤 사료의 수분(%) X 각 영양소 함량

수분보정환산계수 = 100-구하는 사료의 수분/100-현재 사료의 수분 X 각 영양소 함량

사료의 감정법

경험적 방법(시각, 후각, 미각, 촉각), 이화학적 방법(체별법, 용적 중 측정법, 비중 선별법, 확대경 및 현미경에 의한 방법), 화학적 방법(정성분석법, 정량분석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