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사양학

가축사양학 정리(7) 영양소와 대사작용 - 물

지식꿈나무 2023. 3. 24. 12:01
반응형

물의 일반적 특징 : 영양소 중 가장 쉽게 얻을 수 있고 함량 풍부

출생한 동물의 약 80%를 차지, 혈액의 90%이상을 차지, 체지방량과는 반비례관계, 체내 수분량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

수분요구량에 가장 큰 영향 : 환경온도

수분손실의 요인 : 소변, 대변, , 허파에서의 증산작용 및 피부를 통한 발산작용

물을 영양소로 분류하지 않는 이유 : 주위에서 쉽게 공급받을 수 있음,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음, 세정용으로 사용되므로 영양외적 물질로 분류

물의 생리적 기능 : 용해성이 크고 이온화 능력이 강한 입자, 물의 비열에 의해 체온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음, 소화흡수와 영양소의 이행을 도움, 영양소의 가수분해 및 흡수를 도움, 비열과 증발열이 많음, 체액의 구성물질 이며 조직기관의 관절부에서 윤활유역할.

대사수 : 수소와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의 산화작용 시 발생하는 물. 전분 1g에서 생성되는 대사수의 양은 0.56g. 흡수된 영양소가 산화되어 매 100Kcal의 대사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10g의 대사수가 생성됨. 100g의 글루코오스를 산화시켜 생성되는 대사수의 양은 60g. 산화과정 후 생성된 대사수는 체내 수분요구량을 충족시킴.

영양소 100g 당 대사수 생성량 : 탄수화물=60g, 단백질=42g, 지방=108g

지방이 대사수생성량이 많은 이유  → 탄소 및 수소원자가 많이 들어있기 때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