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육종학 정리(1) 가축육종의 개요
1. 가축육종의 개요
1. 육종의 의의
유전적 소질을 개량하여 실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품종을 육성, 실용화한다.
2. 육종의 목표
① 축산물의 두당 생산량의 증가 ② 축산물 생산의 효율화 ③ 축산물의 품질향상 ④ 가축품종 특징의 고정 ⑤ 체형의 개량 ⑥ 유전적 결함제거 ⑦ 표현형의 균일화
- 축산물 두당 생산량의 증가와 관련 : 한우의 일당증체량, 젖소의 두당 산유량 증가, 산랑계의 산란수 증가
- 축산물의 효율적 생산을 위한 고려사항 : 사료효율, 번식능률, 생산수명
- 가축육종의 효과 : 축산물의 생산량 증가, 축산물의 품질개성, 축산생산의 효율화
- 가축육종학과 관련 분야 : 번식생리학, 통계학, 경제학
- 육종에 제일 중요한 2가지 : 선발과 교배
3. 가축육종학의 발달
- 러시 : 집단유전학의 이론과 통계학의 이론을 가축개량에 이용하여 현재의 가축육종학의 원리를 수립하는데 공헌
- 하디와 바인베르크 : 집단유전학의 주요법칙을 밝혀냄.
- 피셔 : 혈연개체간의 상관관계를 연구
- 헨더슨 : 가축경제형질의 육종가 추정과 우수종축선발에 효과적인 방법을 고안(최적선형불편예측법:BLUP)
- 베이크웰 : 멘델유전법칙 전 약 100년전에 선발과 교배법 이용해 가축개량사업수행, “like begets like(부전자전)”
- 멘델 : 제일 먼저 유전 법칙 체계 정립 실험 수행
- 콤스톡 : 상반반복선발법
- 헤이즐 : “선발지수” 고안
- 갈톤 : 20세기 초 생물통계학 분야 개척
- 뮐러 : 초파리 돌연변이
4. 가축화에 따른 형태적 변화
소, 말, 나귀, 개는 작아지고 면양과 염소는 변화없고 토끼, 가금은 커졌다.
돼지는 전구보다 후구가 높고 발달, 두골은 짧아졌고 돼지의 안면만곡, 닭의 견갑골이 작아짐. 닭의 우모는 화려해졌고 말의 갈기 꼬리털이 많아지고 돼지는 적어짐.
5. 기타
- 돼지의 경제적 중요형질 : 사료효율, 도체품질, 육질, 이유 시 체중, 이유 후 성장률, 복당 산자수
- 개체변이 : 같은 유전적 조성을 가진 가축이라도 사양관리조건에 따라 능력이 달라짐.
- 가축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 : 번식계절이 넓어지거나 없어지고 성성숙기도 빨라짐. 사료의 적응성은 약해졌으나 생산력은 향상됨. 성성숙이 빨라져 발정기가 빨라지고 초산일령이 짧아짐. 적응성이 강해지고 항병력은 약해짐.
- 가축의 능력향상방법 : 유전적 개량과 좋은 환경조건.
- 육종기술의 체계화 : 변이의 탐구와 창조 – 변이의 선발 - 변이의 고정 - 신품종의 증식, 보급
- 종의 유지 장벽 : 지리적 장벽 – 멀리 떨어져 있음, 생태적 장벽 – 서식처내의 다른 환경, 기계적 장벽 – 생식기 구조가 달라 교배 불능, 행동적 장벽 – 음성신호, 구애방법이 달라 성적반응과 교배가 불능
- 동물 중 가장 먼저 가축화 : 개
2023.03.16 - [가축육종학] - 가축육종학 정리(2) 유전자와 유전정보 발현
유전자와 유전정보 발현
2. 유전자와 유전정보 발현 1. 동물체의 구성 - 핵 : DNA 함유하는 기관 - 중심체 : 세포분열 시 방추사 형성의 기준이 된다. - 인 : 핵 안에 위치하며 RNA가 들어있다. - 골지체 : 납작한 주머니 모양.
learningsam.ggon319.com